Javascript : 연산자 - 2. 할당 연산자(대입 연산자)

 

2. 대입, 복합 연산자

  • 대입 연산자(=)는 연산 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.
  • 복합 대입 연산자(+=, -=, *=, /=, %=)는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가 복합적으로 적용 된 것을 뜻한다.
    연산한 뒤에 다시 변수에 값을 재할당 한다.
종류 풀이
A = B  A = B
A += B A = A + B
A *= B A = A * B
A /= B A = A / B
A %= B A = A % B

 

// 등호 연산자(=)
let a = 10;
console.log(a);

// 더하기 등호 연산자(+=)
a += 5;    // a = a 5 5와 동일
console.log(a);

// 빼기 등호 연산자(-=)
a -= 5;    // a = a - 5와 동일
console.log(a);

// 곱하기 등호 연산자(*=)
a *= 5;    // a = a * 5와 동일
console.log(a);

// 나누기 등호 연산자(/=)
a /= 5;    // a = a / 5와 동일
console.log(a);

// 나머지 등호 연산자(%/)
a %= 3;    // a = a % 3와 동일
console.log(a);

 

 

 

   Javascript : 연산자 - 1. 산술 연산자

    연산자란?

    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과 같이 계산 작업을 뜻한다.
  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산술, 문자 결합, 대입(복합 대입), 증감, 비교, 논리, 삼항 조건 연산자가 있다.

 

 

1. 산술 연산자

종류 기본형 설명
+ A+B 더하기
- A-B 빼기
* A*B 곱하기
/ A/B 나누기
% A%B 나머지

 

 

    더하기 연산자

  • 더하기 연산은 피연산자에 문자형 데이터가 한개라도 포함된다면 자동으로 문자형 데이터 타입으로 형 변환된다.
console.log(1 + 1);
console.log(1 + "1");

 

    빼기 연산자

  • 피 연산자에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더라도 산술연산된다.
console.log(1 - "2");
console.log(1 - 2);

 

    곱하기 연산자

  • 피 연산자에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더라도 산술연산된다.
console.log(5 * 3);
console.log("5" * 3);

 

    나누기 연산자

  • 피 연산자에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더라도 산술연산된다.
console.log(10 / 2);
console.log("10" / 2);

 

    나머지 연산자

  • 피 연산자에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더라도 산술연산된다.
console.log(7 / 2);
console.log("7" % 2);

7을 2로 나누고 나머지 값

 

 

 

   Javascript : 형 변환

    형 변환
    형태를 바꾼다.

 

1. 암시적 형 변환

     문자형(String)

  • 문자열과 다른 타입의 데이터형태가 만나면 문자열로 변환된다.
  • 문자와 숫자가 만나면 문자열로 변환된다.
let result = 1 + "2";
console.log(result);
console.log(typeof result);

  • 문자열과 논리형의 타입이 만나면 문자열로 변환된다.
let result2 = "1" + true;
console.log(result2);
console.log(typeof result2);

 

     숫자형(Number)

  • 더하기 연산자가 아닌 +, -, * 연산자가 붙으면 숫자 연산자로 변환된다.
let result3 = 1 - "2";
console.log(result3);
console.log(typeof result3);

 

let result4 = "2" * "2";
console.log(result4);
console.log(typeof result4);

 

 

2. 명시적 형 변환

     논리형(Boolean)

  • 6번 : 문자은 값이 있는 문자열은 빈 문자열이 아니라면 true라고 나온다.
  • 7번 : 객체라는 것은 값이 비어있어도 true라고 나온다.
console.log(Boolean(0));
console.log(Boolean(""));
console.log(Boolean(null));
console.log(Boolean(undefined));
console.log(Boolean(NaN));
console.log('---------------------');

console.log(Boolean("flase"));
console.log(Boolean({}));

 

    문자형(String)

  • 숫자형, 논리형, null, undefined를 넣어줘도 string을 붙여줬기 때문에 모두 문자형으로 형 변환 된다.
let result5 = String(123);
console.log(typeof result5);
console.log(result5);

let result6 = String(true);
console.log(typeof result6);
console.log(result6);

let result7 = String(false);
console.log(typeof result7);
console.log(result7);

let result8 = String(null);
console.log(typeof result8);
console.log(result8);

let result9 = String(undefined);
console.log(typeof result9);
console.log(result9);
 

 

 

    숫자열(Number)

  •  
let result10 = Number("123");
console.log(result10);
console.log(typeof result10);

 

 

 

 

 

   Javascript : 데이터 타입 - Boolean, undefined, null

    데이터 타입의 종류를 알아보자
     1.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의 선언 특징
     2. 숫자
     3. 문자
     4. 논리형(Boolean)
     5. undefined
     6. 빈 데이터(null)

 

 

4. 논리형(Boolean)

     논리형(Boolean)이란?

  • Boolean은 true(참) 또는 false(거짓)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이다.
let bool1 = true
let bool2 = false
console.log(bool1);
console.log(typeof bool1);
console.log(bool2);
console.log(typeof bool2);

 

' ', " "를 사용하면 문자열(string)이 되니까 조심하자

 

5. undefined

     undefined 란?

  • 값이 할당/정의되지 않은 것(un : not , define : 정의하다.)
  • 변수에 값이 등록되기 전 상태를 말한다. 
let x;
console.log(x);

x에 정의하지 않았기때문에 undefined로 나온다.

 

6. 빈 데이터(null)

     null 이란?

  •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'명시적'으로 나타내는 것
  • null ≠ undefiend
  • null은 변수에 저장 된 데이터를 비우고자 할 때 사용한다.
let y = null
console.log(y);

 

 

 

 


 

 

5. object(객체)

     object 란?

  • {key : value pair}
let chulsoo = {
    firstname : 'lee',
    age : 20,
    isMarried : true
}
console.log(chulsoo.firstname)
console.log(chulsoo.age)
console.log(chulsoo.isMarried)

console.log(typeof chulsoo.firstname)
console.log(typeof chulsoo.age)
console.log(typeof chulsoo.isMarried)

 

 

6. array(배열)

     array 란?

  •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
  • 배열은 모두 index(위치 데이터)를 가지고있다.
  • index의 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.

 

 

 

   Javascript : 데이터 타입 - 문자(String)

    데이터 타입의 종류를 알아보자
     1.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의 선언 특징
     2. 숫자(Number)
     3. 문자(String)
     4. 논리형(Boolean)
     5. undefined
     6. 빈 데이터(null)

 

 

 

 

3. 문자열(string)

     문자열로 선언할 때

  • ' ', " " 로 감싸주어야 문자열로 선언된다.
let str = "hello world"
console.log(str);
console.log(typeof str);

 

     string의 기능 -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때

  • 변수.length
let str = "hello world"
console.log(str.length);

 

     string의 기능 - 문자열 결합하기

  • 변수1.concat(변수2);
let str1 = "Hello World "
let str2 = "Welcome"
let result = str1.concat(str2);
console.log(result);

 

     string의 기능 - 문자열 자르기
      ① substr

  • 변수.substr(7,5)
  • 7번째부터 5개의 글자를 자르자

문자열을 자를때에는 공백을 포함하여 자른다.

      ② slice

  • 변수.slice(7,15)
  • 7번째부터 12번째 글자까지 자르자

 

     string의 기능 - 문자열을 검색할 때

  • 변수.search("검색할 문자")
  • 대상 변수에 검색할 문자가 몇번째부터 시작하는지 찾는 기능
let str3 = "Hello World Welcome"
console.log(str3.search("Welcome"));

"Welcom"이 시작되는 지점이 몇번째인지 찾는 기능이다.

 

     string의 기능 - 문자열 대체

  • 변수.replace("대상문자", "변환할 문자")
let str5 = "Hello World Welcome"
let result01 = str5.replace("Welcom", "Javascript")
console.log(result01);

 

     string의 기능 - 문자열 분할

  • 변수.split("문자열을 자를 기준이되는 문자")
let str6 = "apple, banana, kiwi"
let result02 = str6.split(",")
console.log(result02);

 

 

 

 

 

   Javascript : 데이터 타입 - 숫자(Number)

    데이터 타입의 종류를 알아보자
     1.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의 선언 특징
     2. 숫자(Number)
     3. 문자(String)
     4. 논리형(Boolean)
     5. undefined
     6. 빈 데이터(null)

 

 

1.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의 선언 특징

     데이터 타입이 선언될 떄

  • 데이터 타입은 runtime(코드가 실행될 때) 데이터 타입이 실행된다. 
    예를들어 JAVA에서는 선언할 때 매번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주어야하지만,
    Javascript 는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코드가 실행될 때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.
// JAVA
string A = "ABC"
 
// Javascript
const A = "ABC"

 

2. 숫자(Number)

     정수

  • 데이터 타입.
let num1 = 10;
console.log(num1);
console.log(typeof num1);

 

     실수(float)

  • 데이터 타입.
let num2 = 3.14;
console.log(num2);
console.log(typeof num2);

 

     지수형(Exp)

  • 데이터 타입.
let num3 = 2.5e5;  // 2.5 x 10^5(10의 5승)
console.log(num3);
console.log(typeof num3);

 

     NaN(Not a Number)

  • 데이터 타
let num4 = "hello" / 2;
console.log(num4);
console.log(typeof num4);

 

     무한대(Infinity)

  • 데이터 타
let num5 = 1 / 0;
console.log(num5);
console.log(typeof num5);

 

let num6 = -1 / 0;
console.log(num6);
console.log(typeof num6);

 

    Javascript : 변수와 상수 

    변수와 상수에 대해 공부한다.

 

1.  변수(variable)와 상수(constant)

     변수란 무엇일까?

  • 변수(Variables)는 변하는 데이터(값)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며,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방이다.
  • 변수에는 오직 한개의 데이터만 저장되며,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오면 기존에 있던 데이터는 메모리 공간에서 지워진다.
  •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문자형(string), 숫자형(number), 논리형(boolean), 빈데이터(null)이 있다.
  • 변수는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로 let을 사용한다.
  •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읽어들여 재사용하기 위해 변수를 사용한다. 
  • 변수의 5가지 주요 개념

A라는 방에 "Hello wold!"를 넣어주는 것..

변수 5가지의 주요 개념
변수 이름 저장 된 값의 고유 이름
(예) A
변수 값 변수에 저장 된 값
"Hello word"
변수 할당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
만들어진 변수 A에 "Hello word"를 저장하는 것 
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에 알리는 행위
var 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A 에 저장하는 것을 알리는 행위
변수 참조 변수에 할당 된 값을 읽어오는 것
var c = a + b;를 구할 때 var avar b 를 참조하는 것 
var A = "hello world";

var a = 10;
var b = 20;
var c = a + b;

 

 

     상수란 무엇일까?

  • 변하지않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로 상수 선언할 때에는 const를 사용한다.

 

 

     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방법

  •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var, let, const가 있다.
var A = "hello world var";
console.log(A);

let B = "Hello world let";
console.log(B);

const C = "Hello world const";
console.log(C);

 

  • 변수를 선언하고, 할당을 나중에 할 수도 있다.
// var D = 3 과 동일하다.
var D;
D = 3

 

 

 

     var, let, const의 차이점  

    ① 변수를 선언 후 다시 선언할 때

  • var는 동일 변수에 여러번 선언할 수 있지만 let과 const는 여러번 선언할 수 없다.
 
var 이미 선언 된 값에 다시 선언 가능
let 이미 선언 된 값에 다시 선언 불가능
const 이미 선언 된 값에 다시 선언 불가능

let으로 선언한 B와 const로 선언한 C에 에러 발생
let은 선언한 이후에 다시 변수에 선언할 수 없다.

 

    ① 변수에 선언 후 변수 이름에 다시 재할당 할 때

  • var와 let은 재할당이 가능하지만 const는 여러번 할당할 수 없다.
 
var 이미 할당 된 값에 재 할당 가능
let 이미 할당 된 값에 재 할당 가능
const 이미 할당 된 값에 재 할당 불가능
var A = "hello world var";
A = "var test 1"
console.log(A);

let B = "Hello world let";
B = "let test 2"
console.log(B);

const C = "Hello world const";
C = "cosnt test 2"
console.log(C);

 

const로 선언하고 할당한 값은 재할당이 불가능하다.

 

     변수 선언 시 주의사항
      1) 변수명의 첫 글자로는 영문자, $, _(언더바) 만 올 수 있다.


      2) 변수명 첫 글자 다음은 영문자, 숫자, $, _(언더바)만 포함할 수 있다.

     3) 변수명으로는 예약어(document, location, window 등..) 약속어를 사용할 수 없다. 
          예약어란 이미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기로 약속하고 사용 중인 단어를 말한다.

     4) 변수명을 지을 때에는 되도록 의미를 부여해 작성하는 것이 좋다.

     5) 변수명을 사용할 때에는 대/소문자를 구분해야 한다. 

대소문자가 틀린 경우 표시가 생긴다.

 

 

 

 

+ Recent posts